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7

내 종목 선정 실수? - 불닭볶음면 삼양식품(003230) 저조한 실적 공시 불닭볶음면 선풍적인 인기에 탑승하고자 투자했던 삼양식품이 전혀 기대보다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다. 지난해 9만 원 대에 저점이라서 생각해서 내 포트폴리오에 편입하기 시작했지만 그 이후 주가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삼양식품은 올해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2% 감소한 1475억6611만원이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1.7% 줄어든 142억4312만원을, 당기순이익은 53.4% 줄어든 108억3093만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실적을 살펴봐도 영업이익(286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875억원으로 13%정도 감소하였다. 국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줄어 1209억원을 기록했고 해외 수출액이 16661666억 원으로 1.. 2021. 8. 17.
카카오 최대 재벌 그룹으로 거듭나다?! 카카오 시총 100조 시대 "언제 이렇게 컸지?" 카카오는 지금 국내 증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그룹이다. 8월 13일 기준 카카오와 계열사의 시총 합은 100조 7천 억 원이다. 삼성, SK, LG, 현대차에 이어서 국내 증시에서 5번째로 높은 시총이다. 삼성그룹은 16개, SK는 22개, LG는 13개, 현대차 12개로 계열사가 많은 점을 보면 카카오는 4개로 만든 시총이라서 더욱 놀랍다. 카카오그룹 시총이 벌써 네이버, 롯데,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등 수많은 그룹을 제치고 5위를 기록한 것도 놀라운데 더 무서운 점은 카카오에는 아직도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계열사들이 많다는 점이다. 이미 시장에서는 비상장 계열사의 기업가치까지 더할 경우 카카오그룹의 몸집은 이미 LG그룹과 현대차그룹에 육박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 2021. 8. 17.
이베스트투자증권(078020) 2021년 2분기 실적 체크 - 주식 투자 열풍은 이어간다! 주식 투자 열풍에 탑승하고자 투자했던 증권사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올해 2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2분기 매출액은 35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하였지만 영업이익은 6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늘었고, 2분기 당기순이익은 457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4.5% 증가했다. 매출 규모는 조금 낮아졌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엄청난 증가세를 기록했다. 지난 6개 분기 실적을 봐도 올해 수익성이 가장 높은 점을 볼 수 있다. 상반기 기준으로 봐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3.2%, 당기순이익은 946억 원으로 같은 기간 117.8%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비용이 큰 면에서 감소함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주가는 지난 코로나가 터진 시점 이후 동학개미운동에 힙 입어 꾸준히 .. 2021. 8. 16.
SM엔터테인먼트(041510) 알짜 자회사 디어유 코스닥 IPO/신규 상장 준비 올해 남은 신규 상장 기업 리스트를 보다가 딱 눈에 띄는 종목이 하나 있어서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바로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이자 아이돌 팬덤 플랫폼을 운영하는 디어유라는 기업이다. 워낙 이쪽 분야에는 아는 게 없어서 처음 들어본 기업이지만 아이돌과 팬덤을 이어주는 대표적인 플랫폼으로서 시장에서 굳건한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한다. http://www.dear-u.co/index.php DEARU www.dear-u.co 디어유의 주력 사업은 지난해 출시한 버블이다. 아티스트가 메시지를 직접 작성해 팬들에게 보내고 팬들도 이에 답장을 할 수 있는 1:1 채팅 서비스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월 4500원만 내면 사용할 수 있는 구독 서비스다. 버블 서비스 가입자는 100만 명 이상이며.. 2021. 8. 16.
토스에서 받은 주식 LG디스플레이(034220) 한번 체크해볼까? 토스증권 주식 증정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받은 종목 LG디스플레이에 대해 한번 체크해보도록 하겠다. 만약에 체크해보고 좋은 기업임을 확인하면 더 투자할 의향이 있다. 우선 주가 차트를 보면 작년 코로나 시점 바닥을 찍은 이후 천천히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최근 증시 시장과 함께 주가가 조금 지지부진한 모습도 함께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LG디스플레이는 모두가 알고 있겠지만 TV, 모니터, 노트북, 모바일폰에 들어가는 LCD, OLED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판매하고 있다. 아래 테이블과 같이 매출 비중은 거의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매출의 약 98%는 아래와 같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을 만큼 해외 의존도가 높은 기업이다. 실적은 오랜 부진을 끝내고 지난해부터 고공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2021. 8. 15.
3N(넷마블, 엔씨소프트, 넥슨) 게임사 실적 주춤, 하반기도 글쎄? 국내 매출 상위 3개 게임사인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일명 ‘3N’ 기업 그리고 검은사막으로 유명한 펄어비스는 올 2분기 실적이 모두 나빠졌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전년 동기 대비 넥슨은 42%, 넷마블은 80%, 엔씨소프트는 무려 46%나 감소하였다. 그리고 펄어비스는 영어이익 -60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였다. 신작 게임 출시가 늦어졌고 인건비가 증가한 영향이라고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게임을 엄청 즐겨하지 않아 많은 지식은 갖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이러한 실적을 거둔 것이 당연하다고 본다.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펄어비스 모두 좋은 IP와 게임을 보유하고는 있지만 딱히 최근 들어 성공한 신작이 없기 때문이다. 넥슨은 특히 대부분 매출을 발생시킨 중국에서의 던전앤파이터 게.. 2021. 8. 14.
우버/Uber 2021년 2분기 흑자 전환 성공 - 주린이 동앤트 포트폴리오 체크 글로벌 1위 차량 공유 플랫폼 오부저 드디어 올해 2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내 포트폴리오에서 성장 종목으로 투자한 우버가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빛을 보는 듯싶다. 분기 기준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5%, 상반기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32% 높은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무엇보다 항상 적자 기업으로 평가절하 받았던 기업 우버가 드디어 흑자 전환했다는 점이 특히 긍정적이다. 코로나 위기 속에서 이러한 실적 개선을 보인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코로나 사태 속에서 우버가 집중하였던 우버 이츠 사업이 특히 훌륭한 실적을 기록했다. 실제로 2분기에도 배달 사업 매출은 19억 6000만 달러로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차량 예약 서비스 매출 16억 2000만 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모.. 2021. 8. 14.
우리 GS가 달라졌어요~ GS리테일 국내 2위 배달 플랫폼 요기요 인수 국내 1위 보톡스 기업 휴젤 인수 이어서 또다시 GS의 대형 인수 건이 일어났다. 8월 13일 어제 GS리테일이 국내 2위 배달 플랫폼 요기요를 인수했다는 뉴스가 떴다. GS에 내 재산의 상당한 부분이 들어가 있는 만큼 GS의 이러한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를 환영한다. 요기요를 인수했다고 해서 뭐 당장 GS라는 큰 기업이 당장 뭐 실적이 개선되거나 그러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이러한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1/08/13/XMUECU36A5BXBJLL74JZZXY4MY/ GS리테일·사모펀드, 8000억에 요기요 품었다 GS리테일·사모펀드, 8000억에 요기요 품었다 biz.chosun.com 요새 배달의 민족과 .. 2021. 8. 14.
더현대서울 대박이다~ 현대백화점(069960) 2분기 실적 공시 코로나라는 대형 위기 속에서 내가 과감하게 투자한 현대백화점이 주가와는 별개로 2분기 훌륭한 실적을 공시했다. 올해 새로 오픈한 여의도의 더현대서울 흥행과 명품을 중심으로 한 보복 소비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매출액은 8638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2% 증가했고, 영업이익 5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9.6%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27.2% 증가한 483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 사태 속에서 현대백화점이 오프라인 중심의 사업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다면 굉장히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더현대서울,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프리미엄아울렛 스페이스원 등 신규 점포의 매출 호조와 소비 회복 추세에 따른 결과라고 한다. 실제로 최근 평일에 연차를 내고 더현대서울을 방문했는데 코로나.. 2021. 8. 13.
GS(078930) 첫 대규모 빅딜, 국내 1위 보톡스 기업 휴젤(145020) 인수 내 계좌에서 가장 큰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GS가 오랜만에 주주들에게 좋은 소식을 들려주었다. GS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이 국내 1위 보톡스 업체 휴젤의 지분 42%를 매입했다고 한다. 최근 몇 년간 소식이라고는 남혐, 유가 폭락, 리테일 사업 부진 등 악재밖에 없어서 주가가 굉장히 지지부진했는데 이번 인수는 GS의 신사업 진출 측면에서 굉장히 호재라고 생각한다. 특히 기존 GS가 주력으로 삼고 있는 리테일, 정유 사업이 굉장히 부진하고 있는 만큼 이번 휴젤 인수를 통한 "바이오" 사업으로 영역 확대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특히 휴젤은 위 이미지와 같이 국내 톡신/필러 부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꾸준히 높은 성장을 보이는 기업이다. 매년 꾸준히 매출는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 2021. 8. 12.
LG이노텍(011070) 떡상 가즈아! 2021년 2분기 실적 발표 LG이노텍(011070) 2021년 올해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하여 창사 이래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이미 21년 2분기에는 매출 2조 3천547억 원, 영업이익 1천519억 원을 기록하면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9%, 영업이익은 178.3% 증가했다. 상반기 누적으로 봐도 매출액은 5조 4천 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 상반기 대비 약 53%, 영업이익은 5천 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 상반기 대비 175%나 증가하였다. 정말로 어마 무시한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스마트폰용 트리플 카메라, 3D 센싱 모듈, 5G 통신용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기판과 차량용 카메라, 통신 모듈 매출이 증가하며 실적을 뒷받침했다. 특히 내가 LG 이노텍에 기대하는 사업은 바로 자동차 전장 부품.. 2021. 8. 11.
시카고 불스의 알찬 보강 하지만 그래도 약해 보인다. (더마 드로잔, 론조 볼) 이번 오프 시즌 이적 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팀 시카고 불스 얘기에 대해 해보고자 한다. 지난 시즌 중반 올스타 센터 부세비치를 영입한 것에 이어서 이번에는 론조 볼과 더마 드로잔을 영입하면서 알찬 보강을 완료하였다. 지미 버틀러와 데릭 로즈가 함께 뛰던 시절 이후에는 시카고 불스 경기를 그렇게 챙겨보지는 않았는데 이번에 알찬 선수 보강을 한 만큼 다음 시즌부터는 챙겨볼 생각이다. 특히 토론토 시절부터 좋아해서 종종 경기를 챙겨보던 더마 드로잔이 시카고 불스로 이적한 만큼 시간이 나면 시카고 불스 경기는 봐야 되겠다. 시카고 불스 프런트진은 이번 시즌만큼은 오랜 부진을 끊고 컨텐더 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과감한 선수 영입을 단행했다. S&T를 통해서 사토란스키와 템플을 보내고 뉴올리언스로부터 포인트 가드 .. 2021.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