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린이의 주식 투자/주린이 해외 주식

[AT&T(Ticker: T)] - 주린이 동앤트의 포트폴리오 점검

by 동장군님 2021. 2. 26.
728x90

AT&T는 미국 내 무선 가입자 1억 8천만 명, IPTV 1778만 명, 초고속 인터넷 1410만 명을 보유(2020년 3분기 기준)한 세계 최대 통신 서비스 기업이자, 워너 브로스와 HBO MAX를 보유한 콘텐츠 미디어 기업이기도 하다. 국내 투자자에게는 고배당 종목으로 유명하기도 한데, 20년 기준으로 주당 2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하면서 시가 배당률은 무려 7%를 기록했다. 

 

처음에 차익 수익보다는 안정적으로 고배당을 받으면서 장기간 가져가려고 포트폴리오에 담았던 종목인데 주가가 아무리 그래도 너무 지지부진한 상황이라서 이번 포스팅을 기회로 AT&T를 계속 가져가는 게 맞는지 한번 점검해보도록 하겠다. 

 

지난 2월 코로나로 인해 전체적으로 주식이 빠졌을 때 바닥이라고 생각해서 평균 30 불에 주식을 매입했다. 다만 무려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그 가격이 안 올 줄은 꿈에도 몰랐다. 너무도 투자자에게 외면을 받고 있는 종목이다.

 

 

 

20년 실적 체크

20년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 77%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미국 다우 및 나스닥 시장이 코로나19 충격 이후 반등하여 최고가를 기록하고, 넷플릭스나 디즈니와 같은 미디어 기업이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AT&T 주가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기존 통신 서비스는 안정적인 매출을 보였으나,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받은 워너 미디어의 부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년에 예정되어 있었던 영화들이 코로나 영향으로 연기되면서 손실이 불가피했다. 

 

아래 그래프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10여 년 만 원 처음으로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정도로 AT&T 현재 상황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실적은 조금 빠졌지만 그래도 현금 흐름 상황은 좋은 편이다. 잉여현금흐름, 영업활동 현금흐름 모두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HBO MAX 가입자는 4분기 4100만 명, 인터넷 가입자는 5백만 명, 후불 폰 요금제 가입자는 6400만여 명을 돌파하면서 AT&T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래 그래프 참고

 

 

 

휴대폰 요금제, 인터넷, IPTV 등은 거의 정체되어 있는 시장이라고 생각하면 결국 AT&T의 미래는 워너미디어 콘텐츠와 HBO MAX OTT 서비스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021년 ‘톰과제리’, ‘고질라&콩’, ‘수이사이드 스쿼드2’, ‘듄’, ‘매트릭스4’, ‘셜록홈즈3’, 2022년 ‘더 배트맨’, ‘아쿠아맨2’ 등 개봉을 앞두고 있는데, 코로나가 하루 빨리 종식돼서 소비자들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수가 있는지가 앞으로의 워너미디어의 실적을 결정짓는 요소로 생각된다.

 

AT&T의 미래라고 볼 수 있는 HBO MAX의 가입자 수가 그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서 다행이긴 하지만 경쟁사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와 비교해서는 브랜드 파워에서 약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 아래 구글 검색 트렌드를 봐도 넷플릭스가 압도적으로 높고, 그다음 디즈니, HBO 맥스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블보다는 조금 약해졌기는 하지만 확실한 팬덤을 가지고 있는 DC코믹스의 판권을 보유한 만큼 해당 콘텐츠를 잘 활용해서 디즈니처럼 워너브라더스와 HBO MAX을 이끌어줬으면 한다.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AT&T의 미래가 밝지 않다는 이유로 매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 튼튼한 통신 사업이 버티고 있고, 새로운 콘텐츠 사업이 잘 되기만 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기업이라고 생각한다. 디즈니와 넷플릭스처럼 폭발적으로 가입자 수가 증가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워너미디어라는 확실한 콘텐츠 제작사에 OTT 서비스를 직접 운영하는 안정적인 구조를 구축한 만큼 콘텐츠가 잘 받쳐주기만 한다면(수어사이드 스쿼드 같은 망작을 얘기하는건 아니다. 내년에 새로 나오는 배트맨에 충분히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충분히 1위는 아니더라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본다. 경영진의 주주 환원 정책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어서 당장의 수익은 볼 수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배당을 받으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