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7 [ProShares Pet Care ETF PAWZ] - 주린이 동앤트의 반려동물 ETF 투자 반려동물은 오늘날 우리들에게 '애완동물' 그 이상의 존재가 됐다. 반려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어서 그 느낌은 모르겠지만 주변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을 보면 반려동물을 진짜로 가족처럼 여기고 있다. 국내 통계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키우는 '펫팸족'의 인구는 1500만 명으로 4가구당 1가구는 현재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 1인 가구와 비혼족이 증가한다고 하면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당연히 반려동물 산업에 대한 시장도 커질 수밖에 없다. 다만 투자자로서 아쉬운 것이 국내에는 뚜렷하게 반려동물 관련 종목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애완동물, 반려동물 ETF ProShares Pet Care(PAWZ)에 대해 다.. 2021. 3. 13. 배당으로 월급 만들기 - 알리코제약(260660) 20년 배당 공시 배당 시즌이 왔다. 내가 보유한 기업들이 연달아 기대 이상의 배당을 공시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4월의 배당 수입이 기대가 된다. 내가 보유한 제네릭, CMO 업체 알리코제약이 지난 1월 초 주당 100원의 배당금을 공시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시가 배당률이 0.8%, 배당 총액은 9억 5천만 원으로 4분기 실적은 나오지 않았지만 배당성향은 약 5%~8% 정도로 추정된다. 올해 매출이나 영업이익을 보면 실적이 오히려 19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정도로 현금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개발지 투자 증대와 원재료 예비 구매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서 현금흐름이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판단하기에는 좋은 기업이지만 주가는 전혀 그렇지.. 2021. 3. 11. 배당으로 월급 만들기 - 뷰웍스(100120) 20년 배당 공시 의료, 산업용 카메라 영상 솔루션 기업 뷰웍스가 주당 450원의 배당을 공시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시가 배당률 1.3%, 배당금 총액은 45억 원으로 배당성향은 4분기 실적이 아직 안 나와서 확실히 모르겠지만 약 10% ~ 15% 정도로 추정된다. 아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매년 꾸준히 배당금이 증가해온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의료용 장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부분이 배당금 상승을 이끌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꾸준히 좋은 실적을 내고 있음에도 주가는 3년째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뷰웍스다. 코로나에도 거의 주가 변동성이 적을 만큼 굉장히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워낙 이처럼 투자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종목을 선호하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 지속될 것 같아서 조금 우렵스.. 2021. 3. 11. 내로남불의 끝판왕 정부?? feat 기업은행, 은행주식 신한지주 주주로서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는 소식이 있어서 가져와 봤다. 바로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듯이 기재부가 기업은행으로부터 2000억이 넘는 고배당 수익을 얻었다는 뉴스다. 이게 왜 문제냐? 시중은행에게 배당성향을 20%로 맞추라는 규제를 가했던 정부기관이 반대로 기업은행으로부터 엄청난 수익을 얻었기 때문이다. 배당이 감소하면서 손실을 본 대부분 개인 투자자들 상황과 대조적이다. 개미들한테는 참으라고 하고 지들은 뒤에서 챙길 거 다 챙긴다? 은행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로서 화가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n.news.naver.com/article/277/0004860516 기업銀 고배당에 배불린 기재부…2000억 넘는 배당수입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금융당국의 배당 제한 규제를 비켜간 국책은행.. 2021. 3. 8. [Sabra Health Care REIT Inc SBRA] - 주린이 동앤트의 해외 리츠 투자 분석 성장과 배당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투자한 종목이 바로 오늘 포스팅에서 다룰 SABRA 헬스케어라는 리츠 종목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시대가 빨라지고, 더 좋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당연히 헬스케어 인프라 즉 노인주거시설, 병원, 요양원 등 시설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수 십 년이 지나서 아무리 기술 과학이 발전하더라도 이러한 시설은 꼭 필요하다고 보기에 관련 부동산 리츠에 투자하기로 결심했고, 오메가 헬스케어, 웰 타워, 벤타스 등 국내 투자자에게는 꽤 알려진 관련 리츠가 있지만 그중에서 나는 SBRA를 선택했다. 매입 평균가: $16.9982 역시나 그랬듯이 코로나 사태로 주가가 반토막 난 이후 조금씩 반등하는 추세이다. 1년이 지난 현재도 .. 2021. 3. 7. 주린이 동앤트 21년 매도 종목 - 현대통신(039010) 매입 평균가: 8,939 매도가: 9,930 수익률: 11.1% 4% 가까이 높은 배당률, 전반적으로 준수한 재무 지표, 국내 스마트홈 시장에서 약 30% 정도의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아서 투자를 결심했지만 위 그래프와 같이 약 2년 간 끝없는 추락에 굉장히 많은 고생을 했다. 어떻게 내가 투자를 한 시점부터 실적이 반토막 나면서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했다. 19년 영업이익은 105억 원으로 18년 대비 50% 감소했다. 스마트홈 이외 스마트보안, IoT 사업, 그리고 국내 건설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가 많이 반등한 상황이지만 솔직히 잘 모르겠다.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모두 좋은 상황이고 배당금도 놓고 사업 내용도 크게 나쁘지 않은 것 같지만 대중성과 떨어지는 기업이라.. 2021. 3. 7. 21년 첫 매도 종목 - 민앤지(214180) 매입 평균가: 15,017 매도가: 17,750 수익률: 18.20% 약 1년 반 동안 보유한 종목 민앤지를 올해 1월 과감히 매도했다. 애초에 크게 매력적인 사업 서비스도 아니라서 크게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겨우 18% 수익만을 보고 매도한게 조금 찝찝하긴 하다. 국내 1위 간편 결제 시스템 기업 세틀뱅크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여러 다양한 온라인 솔루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등 대중성과는 약간 떨어지는 기업이기는 하지만 확실한 캐시 카우가 있어서 투자를 했지만 이렇게 再见할 줄은 몰랐다. 현금장사하는 기업이라 전반적인 재무 수치는 너무 좋다. 다만 투자한지 1년 반이 넘었는데 주가가 너무 지지부진해서 조금 힘들었다. 조금 더 존버한다면 충분히 투자자로부터 인정받을 날이 오겠지만 성장성과 안정성이 둘다 보.. 2021. 3. 6. [네오팜 092730] - 주린이 동앤트의 포트폴리오 점검 포트폴리오 중 유일한 화장품/건기식 업종 기업 네오팜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간략히 체크해보도록 하겠다. 보통 이런 B2C 소비재 기업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데 네오팜에 워낙 확실한 브랜드가 있고, 재무 지표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워서 투자를 결심하게 되었다. 폭발적인 성장성은 기대하기 힘들지만 어느 정도 꾸준히 안정적으로 우상향 하는 가치주로 투자하기에는 꽤 매력적인 종목으로 생각한다. 코로나 영향으로 바닥을 찍은 이후 아직까지도 반등하지 못한 모습이다. 차기 성장 동력으로 삼았던 중국 시장 진출이 올해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코로나 사태로 전반적으로 소비가 축소, 화장품 할인 경쟁이 한 층 더 심화되는 등 전반적으로 네오팜 주가를 이끌만한 호재가 크게 없는 상황이었다. 코로나 사태 저점.. 2021. 3. 6. 배당으로 월급 만들기 - 20년 GS(078930) 공시 삼성전자, 현대차, 신한지주와 함께 내 포트폴리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우량 기업 GS가 배당을 공시했다. 보통주 주당 배당금은 1900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했고, 배당 총액은 약 1800억 원이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시가 배당률은 약 4.9%다. 확실히 코스피 대표적인 배당주로 높은 배당금을 지급 결정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올해 GS로부터 배당은 크게 기대하지 않았다. 코로나로 인해 커머스 사업을 영위하는 GS리테일의 실적이 소폭 증가했지만, 20년 유가 하락으로 GS칼텍스가 영업손실 9000억 원으로 적자 전환됐고, 코로나로 국가 간 교역이 전반적으로 축소되면서 GS글로벌, GS에너지 실적이 대폭 감소하는 등 GS 계열사 실적 상황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GS 20년 매출은 전년 .. 2021. 3. 4. 배당으로 월급 만들기 - 20년 신한지주(055550) 배당 공시 신한지주가 배당성향을 20%로 제한하라는 말도 안 되는 금융당국의 권고안을 가볍게 무시했다. 신한지주는 보통주 기준 주당 1500원을 발표하면서 배당 총액은 8000억, 금융 당국의 권고안 20%을 넘은 배당성향 22.7%를 기록했다. 배당 때문에 투자한 신한지주가 말도 안 되는 정부 때문에 배당금을 줄일까 봐 걱정했는데 기우에 불과했다. 주가는 영 시원치 않지만 배당만큼은 그래도 배당만큼은 만족한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시가배당률을 계산하면은 약 4.4% 정도가 나온다. 현재 예금 이자율이 1%도 안 되는 만큼 은행에 예금으로 돈을 넣을 바에는 은행 주식을 매수해서 배당을 받는 게 4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주가 부양을 위해 배당을 기대 이상으로 지급한 점은 고무적이지만 주가는 전혀 그러한 점.. 2021. 3. 4. 배당으로 월급 만들기 - 20년 환인제약(016580) 배당 공시 내가 보유한 헬스케어/바이오 기업 중에서 가장 기대가 큰 정신과 특화 제약사 환인제약이 지난 2월 22일 20년 배당을 공시했다. 주당 배당금은 300원, 배당 총액은 45.8억이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시가 배당률은 1.53%다. 20년 매출액은 1716억, 영업이익은 2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8%, 8.4% 증가했다. 아래 그래프와 같이 폭발적인 성장은 아니더라도 꾸준히 천천히 성장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청년 4명 중 한 명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한 만큼 매년 정신 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국내 정신 약품 시장 점유율 1위(19.3%) 기업 환인제약은 이러한 추세에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종목이다. 좋은 실적을 기.. 2021. 3. 3. 배당으로 월급만들기 - 주린이 동앤트의 21년 2월 배당일지 (AT&T, PG, Apple, etc) 배당으로 월급만들기 21년 2월 배당 일지 21년 2월에 지급 받은 종목별 주당 배당 내역은 다음과 같다. 2월 배당 중에서 가장 큰 수익을 가져다준 종목은 역시나 AT&T이다. 워낙 고배당 종목으로 유명한 기업인데 해당 종목이 2월 전체 배당금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총 금액으로 봤을 때 1월과 큰 차이가 없다. 과연 언제 쯤 배당으로 월급을 만들 수 있을지가 의문이기는 하지만 계속 매수를 통해 배당 총액을 늘릴 필요가 있을 듯 하다. 2021. 3. 2.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