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최근 3개년(2021~2023년) 평균 곡물자급률은 19.5%로 집계됨.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 곡물자급률은 100.7%. 미국은 122.4%, 중국은 92.2%, 일본은 27.6%로 한국은 주요 국가 중 거의 최하위로 집계되는 상황. 기후변화가 단시일 내 극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서 전 세계 각국이 '식량안보' 강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 아래 데이터로 우선 대한민국의 농업, 어업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가장 심각한 농업 종사 인구부터 보면 농업가구는 2010년 이후 연평균 1.26%, 농가 인구 수는 연평균 2.9%씩 감소하는 추세다.
논은 쉽게 말해 물을 대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벼를 심어 가꾸는 농지이고, 밭은 물을 대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서 야채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을 의미한다.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밭과 달리 쌀농사를 주로 하는 논의 경우 고령화와 더불어 쌀 소비 감소로 인해 논 경지 면적이 연 평균 1.76%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
생산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생산량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개별 품목의 기준시에 대한 비교시의 생산량 변화를 산출. 아무래도 국내 소비 흐름이 기존 쌀에서 육류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만큼 축산업에서의 생산지수가 빠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보임.
우리가 알고 있는 편견과 달리 농가 자산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자산, 부채간 스프레드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모든 데이터의 출처는 한국은행.
그래프 "Get the Data"를 클릭하면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한국 경제 Monitoring > 농업_어업_경제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어업 경제 데이터 모니터링(어업 종사 가구수, 인구수, 어획량, 어가자산, 어가부채) (0) | 2024.12.31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