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린이의 주식 투자/동앤트 ETF 투자

주린이 동앤트의 해외 로봇 & A.I ETF 투자 -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by 동장군님 2021. 4. 25.
728x90
반응형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로봇은 앞으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미래 주축 산업이다. 로봇은 급속도록 성장하고 있는 산업으로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 좁게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장에서의 자동화 기술, 로봇 등이 있으며 넓게는 로봇 자동화를 위한 인공지능까지 포함될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2017년 245억 달러 수준의 글로벌 로봇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22%를 기록해 올해 444억 달러 수준으로 한층 커질 전망이라고 한다. 2025년까지 연평균 32%의 성장세를 기록해 1772억 달러(약 194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기대감에 힙 입어 오늘 소개할 BOTZ ETF의 주가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당 ETF 현재 총 운용 자산도 26억 달러를 돌파하여, 현재 증시 시장에서 가장 많은 자산을 운용하는 로봇 ETF다.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기본 정보

BOTZ ETF는 산업용 로봇공학 및 자동화, 비 산업용 로봇 및 자율주행 차량과 관련된 기업이 포함되며, 로봇공학 및 AI의 활용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기업에 투자를 한다.

 

상장일: 16년 9월 12일

보유 종목 수: 32개

운영 보수: 0.68%

운영 자산: $2,630,836,399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보유 종목 분석

탄탄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로봇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선점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비중이 40%로 가장 높다. 일본 특허청 분석에 따르면 세계 10대 산업용 로봇 특허 출원 기업 중에 7곳이 일본 기업이다. 이미지 센서, 접촉의 강도를 감지하는 입력 센서, 로봇 관절에 들어가는 모터 기술 등에서 일본은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전 세계 로봇 시장은 일본이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한국의 경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산업에서 로봇 활용도는 세계 1위라고 한다. 다만 대부분 국산 기술이 아닌 해외 기술을 가져다가 사용하는 게 대부분이다 보니 국내 로봇 시장은 수입이 수출 대비 4배 정도 크다고 한다. 활용도는 높지만 수요에 맞는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국내 기업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Global X ETF에는 보통 1~2개 정도 한국 기업이 들어가 있는데 BOTZ ETF에는 한국 기업이 0개다.

로봇, 드론,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현재 모든 기계의 두뇌라고 볼 수 있는 칩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엔비디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스위스 소재의 로봇, 자동화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ABB LTD, 의학 수술용 로봇 개발을 하는 미국 Intuitive Surgical, 산업용 로봇을 제작하는 일본의 Fanuc corp 등에도 투자를 하고 있는 중이다.

 

 

솔직히 엔비디아, ABB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본 기업이다 보니 처음 보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또한 문송이다 보니 대부분 기업을 봐도 솔직히 무슨 기업인지 어떤 경쟁력을 갖췄는지 이해가 안 간다. 그렇기 때문에 로봇 산업에 투자를 하고 싶지만 로봇 기업을 하나하나 살펴보기에는 부담스러운 투자자들에게는 BOTZ ETF가 해답일 수 있다. 지금 주가가 조금 비싼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앞으로의 성장성을 생각한다면 지금 주가도 충분히 성장할 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